맨위로가기

오스트리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오스트리아를 대표하는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으로, 1912년부터 활동했다. 올림픽에는 13번 출전하여 1948년 6위를 기록했으며,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는 1931년과 1947년에 동메달을 획득했다. 주요 선수로는 라인하르트 디비스, 마이클 그라브너 등이 있으며, 역대 전적은 2024년 11월 10일 기준 총 1106경기에서 436승 83무 587패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국가대표팀 - 오스트리아 핸드볼 국가대표팀
    오스트리아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오스트리아를 대표하여 핸드볼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1936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 세계 선수권 준우승 등의 성적을 거두었고,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8위의 성적을 기록했다.
  •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획득한 아이스하키 강국으로, NHL 선수들의 참가 허용 여부에 따라 국제 대회 성적 변화를 겪으며 세계 최정상급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에 의해 모든 대회 참가가 중단되었다.
오스트리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오스트리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별칭독수리
협회오스트리아 아이스하키 연맹
감독로거 바더
코치크리스토프 브란트너
아르노 델 쿠르토
마르쿠스 파인트너
주장토마스 라플
최다 출전게르하르트 운터루가워 (244)
최다 득점루돌프 쾨니히 (183)
IIHF 코드AUT
IIHF 랭킹13위
IIHF 최고 랭킹11위
IIHF 최고 랭킹 날짜2004년
IIHF 최저 랭킹18위
IIHF 최저 랭킹 날짜2021년
오스트리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유니폼 2022 IHWC
유니폼
첫 경기5–0 오스트리아-헝가리
(프라하, 오스트리아-헝가리; 1912년 2월 4일)
최대 승리30–0
(스톡홀름, 스웨덴; 1963년 3월 12일)
최대 패배23–0
(코르티나담페초, 이탈리아; 1956년 1월 27일)
세계 선수권 대회
참가 횟수66
첫 참가1930년
최고 성적3위 (1931년, 1947년)
유럽 선수권 대회
지역 대회 이름유럽 선수권 대회
참가 횟수7
첫 참가1912년
최고 성적1위 (1927년)
올림픽
참가 횟수13
첫 참가1928년
기록
총 전적436–587–83
언어별 명칭
독일어de

2. 역사

2. 1. 초기 역사 (1912년 ~ 1947년)

2. 2. 침체기와 부활 (1948년 ~ 현재)

3. 선수 기록

3. 1. 최다 출장 기록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기록은 게르하르트 운터루가워가 보유하고 있으며, 1993년부터 2014년까지 총 244경기에 출전했다. 그 뒤를 이어 마르틴 울리히가 228경기(1991년-2008년), 디터 칼트가 197경기(1992년-2009년)를 기록했다.

'''최다 출장'''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게르하르트 운터루가워1993–2014244374582
2마르틴 울리히1991–2008228153651
3디터 칼트1992–2009197534497
4로베르트 루카스1999–2014173133144
5마티아스 타팅1999–2014172304373
6게르하르트 푸슈니크1987–1998163425395
7올리버 제칭거2000–2014160365692
8루돌프 쾨니히1975–198815810578183
헤르베르트 호엔베르거1989–2003158225173
10토마스 코흐2003–2015153395998


3. 2. 최다 포인트 기록

'''최다 포인트 기록'''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루돌프 쾨니히1975–198815810578183
2토마스 치얀1981–19961326269131
3헤르베르트 푀크1976–19881275573128
4에드바르트 레블러1981–19901116951120
5베르너 케르트1986–19991325156107
6제프 푸슈니히1964–19771235055105
7토마스 코흐2003–2015153395998
8디터 칼트1992–2009197534497
9아돌프 바후라1952–1966122593796
10게르하르트 푸슈니크1987–1998163425395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포인트 기록은 루돌프 쾨니히가 보유하고 있으며, 1975년부터 1988년까지 총 183포인트를 기록했다.

3. 3. 주요 선수

라인하르트 디비스는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NHL에서 활약한 경험이 있는 베테랑 골리이다. 토마스 푉크는 오스트리아 리그에서 꾸준히 활약하고 있는 베테랑 수비수이다. 마이클 그라브너는 빠른 스피드와 뛰어난 득점력을 가진 공격수로, NHL 애리조나 카요테스에서 활약하고 있다. 안드레아스 뇌들은 오스트리아 리그 빈 캐피탈스에서 활약하며, 뛰어난 득점 감각을 보여주고 있다. 토마스 바넥은 NHL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에서 활약하는 베테랑 공격수로, 오스트리아 아이스하키를 대표하는 선수 중 한 명이다. 마이클 라플은 NHL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에서 활약하며, 뛰어난 신체 조건과 기술을 바탕으로 팀에 기여하고 있다.

4. 대회 기록

4. 1. 올림픽

오스트리아는 동계 올림픽에 총 13번 출전했다. 최고 성적은 1948년 생모리츠 대회에서 기록한 6위이다. 2002년 동계 올림픽에서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 선수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 있다. 이 대회에서 오스트리아는 12위를 차지했다.

대회순위
1936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공동 7위
1948년 생모리츠6위
1956년 코르티나 담페초10위
1964년 인스브루크13위
1968년 그르노블13위
1976년 인스브루크8위
1984년 사라예보10위
1988년 캘거리9위
1994년 릴레함메르12위
1998년 나가노14위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12위
2014년 소치10위



4. 2. 세계 선수권 대회

오스트리아는 1931년과 1947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33년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1933년 세계 선수권 대회


2022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노르웨이와 오스트리아의 경기


오스트리아는 최근 상위 디비전과 디비전 I을 오가며 경쟁하고 있다. 1998년부터 2005년까지는 최상위 디비전에서 활동했지만, 2005년에 강등되었다. 이후 승격과 강등을 반복하며, 2022년 대회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디비전선수권 대회코치주장결과순위
최상위 디비전 1998년 취리히/바젤1라운드15위
최상위 디비전 1999년 오슬로/하마르/릴레함메르콘솔레이션 라운드10위
최상위 디비전 2000년 상트페테르부르크강등 라운드13위
최상위 디비전 2001년 뉘른베르크/쾰른/하노버2라운드11위
최상위 디비전 2002년 예테보리/칼스타드/옌셰핑2라운드12위
최상위 디비전 2003년 헬싱키/탐페레/투르쿠2라운드10위
최상위 디비전 2004년 프라하/오스트라바예선 라운드11위
최상위 디비전 2005년 빈/인스브루크강등15위
디비전 I 2006년 탈린승격Group B 1위
최상위 디비전 2007년 모스크바강등15위
디비전 I 2008년 인스브루크승격Group A 1위
최상위 디비전 2009년 베른/클로텐강등14위
디비전 I 2010년 틸부르흐승격Group A 1위
최상위 디비전 2011년 브라티슬라바/코시체강등15위
디비전 I 2012년 류블랴나승격Group A 2위
최상위 디비전 2013년 스톡홀름/헬싱키강등15위
디비전 I 2014년 고양승격Group A 2위
최상위 디비전 2015년 프라하/오스트라바강등15위
디비전 I 2016년 카토비체조별 리그Group A 4위
디비전 I 2017년 키예프승격Group A 1위
최상위 디비전 2018년 코펜하겐/헤르닝조별 리그14위
최상위 디비전 2019년 브라티슬라바/코시체강등16위
디비전 I 2020년 류블랴나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됨[1]
디비전 I 2021년 류블랴나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됨[2]
최상위 디비전 2022년 탐페레/헬싱키조별 리그11위
최상위 디비전 2023년 탐페레/리가조별 리그14위
최상위 디비전 2024년 프라하/오스트라바조별 리그10위
최상위 디비전 2025년 스톡홀름/헤르닝


4. 3. 유럽 선수권 대회

오스트리아는 1910년과 1911년, 1914년, 1921년부터 1924년까지는 유럽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 불참하였다. 1912년 프라하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2경기에서 2패, 1득점 9실점을 기록하였으나, 당시 오스트리아가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IIHF) 회원이 아니었기 때문에 무효 처리되었다. 1913년 뮌헨 대회에서는 3전 전패, 5득점 34실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1915년부터 1920년까지는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선수권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1925년 대회에서는 3경기 1승 1무 1패, 4득점 5실점으로 2위를 차지했고, 1926년 대회에서는 7경기 4승 1무 2패, 15득점 13실점으로 3위를 기록했다. 1927년에는 에서 열린 대회에서 5전 전승, 13득점 2실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1929년 대회에서는 6경기 4승 2패, 13득점 9실점으로 3위를, 1932년 대회에서는 4경기 1승 3무, 6득점 3실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대회경기득점실점순위
1912 프라하200219무효
1913 뮌헨30035344위
1925 슈트르프스케 플레소, 스타리 스모코베크3111452위
1926 다보스741215133위
1927 빈55001321위
1929 부다페스트64021393위
1932 베를린4130632위


5. 역대 전적

2024년 11월 10일 기준[5] 오스트리아는 총 1106경기에서 436승 83무 587패를 기록했다.[5] 주요 국가들과의 전적은 다음과 같다:

상대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골득실
캐나다38133444225-181
체코25102431123−92
핀란드1511132778−51
프랑스67351022257183+74
독일541443684177-93
이탈리아97461239298277+21
일본4526514176130+46
노르웨이5519531143198-55
폴란드6031326181183-2
러시아1710162995−66
스위스78121452192346-154
미국33222958172−114
대한민국76013716+21



오스트리아는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7전 6승 1패로 우세하다.[5]

6. 국가대표팀 유니폼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 유니폼은 시대별로 디자인 변화를 거쳐왔다.

참조

[1] 웹사이트 IIHF cancels Division I tournaments https://www.iihf.com[...] 2019-03-17
[2] 웹사이트 IIHF – IIHF Council announces more cancellations https://www.iihf.com[...] International Ice Hockey Federation 2020-11-18
[3] 웹사이트 Letzten Entscheidungen gefällt: WM-Kader steht fest https://www.eishocke[...] eishockey.at 2024-05-06
[4] 웹사이트 Team roster: Austria https://stats.iihf.c[...] iihf.com 2024-05-10
[5] 웹사이트 Ice Hockey in Austria https://nationalteam[...] 2023-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